정보마당/등반이론

까베스톤 매듭과 반까베스톤 매듭

팬더마당 2010. 6. 11. 17:04

 

 

  =* 까베스톤 (Cabestan) 매듭 *=

 

 

 

 

 

 

두 고리를 하나의 고리로 합치는

것인데, 마치 창문을 열듯 서로

겹쳐지게 하면 까베스톤 매듭

이 책갈피를 닫듯 서로 겹쳐지

게 하면 반 까베스톤 매듭이

된다.

 

이 매듭은 확보점에 로프를 고정

시킬 때, 자기 확보 및 후등자

확보시, 짐을 올릴 때 등 이용범

가 넓고 조작도 간단하며 매듭

조정하기가 쉽다.

또 자기 확보줄이 거추장스러워

안전벨트에 연결된 주자일로 직

접 자기 확보를 할 때 사용되기

도 한다. 이 매듭은 양쪽 중 어느

쪽 줄을 잡아당겨도 반대쪽 줄

딸려오지 않는다.

 

등반 도중에 사용되기도 하므로

한손으로 할 수 있도록 숙달시

켜야 한다. 클로브 히치(Clove

hitch knot ) 매듭 이라고도

한다.

 

 

 

 

 

▒▒▒▒▒▒▒▒▒▒▒▒▒▒▒▒▒▒▒▒▒▒▒▒▒▒▒▒▒▒▒▒▒▒▒▒▒▒▒▒▒▒▒▒▒▒▒▒▒▒

 

 

 

 

 

  =* 반 까베스톤 (van Cabestan) 매듭 *=

 

 

 

 

 

 

카라비너에서 쉽게 자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추락제

동용 매듭으로 적은 힘으로도 제동

이 잘 된다.

 

뮌터 히치(Munter hitch)

매듭, 또는 하프크로브 히치

듭(Half Clove hitch knot)

이라고도 한다.

 

상대방 (특히 후등자)의 확보를 볼

 때 많이 사용하며, 이중자일(두

 가닥) 사용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