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등반이론

볼트 빌레이

팬더마당 2010. 7. 9. 16:12

볼트 빌레이

- 멀티 피치 루트를 위한 조언

 

1. 머리말

“멀티 피치 볼트 루트” 카테고리 (“multi-pitch bolt routes”)

"멀티 피치 볼트 루트“ 카테고리는 특성이 매우 다른 루트들이 포함되는 넓은 범위의 루트를 가리킨다. 완벽하게 볼트가 박혀 있는 작은 암벽 꼭대기까지의 세 피치 루트도 고산ㅇ[ 있는 멀티 피치 루트와 거의 같은 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왜냐 하면 이런 두 가지 루트가 전체 길이, 상황,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질 면에서 상당히 다르기는 하나, 루트 자체와 스탠스, 이 양자가 볼트의 확보에 모두 의지한다는 사실은 여전히 같기 때문이다.

일반화하기는 확실히 쉽지는 않으나, 하강하면서 볼트가 설치된 루트는 볼트 간의 간격이 일정하고, 양질의 볼트가 (10mm, 스탠스에 하강 체인 설치, 수지 처리) 쓰이는 편이다. 한편, 선등하면서 볼트가 설치된 루트는 비교적 확보물 간의 거리가 먼 편이고, 손으로 설치된 8mm 볼트 또는 드릴로 박은 10mm 볼트가 쓰이는 편이다. 이런 루트의 약간 쉬운 구간에서, 특히 산에 있는 루트의 경우, 다른 어떤 형태의 자연 확보물이 필요한 경우가 가끔 있다. 또한 대체로, 하강하면서 산을 내려갈 때는, 스탠스가 좋은 편이다.

유의 사항

이런 점에 유의하면서, 멀티 피치 루트를 안전하게 등반하기 위한 기본 테크닉과 필요한 장비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테크닉과 작전을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코자 한다. 이 기사는 초심자 용 기사가 아닙니다.

이 기사는 초심자용이 아니며, 전통식 바위나 얼음 루트에서 쓰이는 방법이 아니다. 이런 복잡한 토픽에 관한 포괄적인 자료도 아니다. 좀더 자세한 참고자료

이 기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형태의 루트에서 어떻게 하는지에 관한 보다 자세한 방법은 다른, 많은 매뉴얼을 구해서 참고하시기 바란다.

빌레이 앵커 형태 (types of stances)

1) 연결되어 있지 않은 트윈 볼트 앵커

2)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트윈 볼트 앵커

3)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볼트 앵커

2. 시리즈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되어 있지 않은 트윈 볼트 앵커

빌레이 앵커를 구성하는 두 개의 볼트는 클라이머들이 선등을 교대로 하느냐 여부에 따라 시리즈로 또는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설명 단순화를 위해, 두 명의 클라이머가 싱글 로프 한 동을 쓰는 경우를 검토하고자 한다.

시리즈로 연결된 트윈 볼트 앵커 (CONNECTED IN SERIES)

등반자의 로프를 묶어 매어 볼트들을 연결한다. 이 방식은 클라이머들이 선등 교대 방식으로, 볼트가 잘 설치되어 있는 멀티 피치 스포츠 루트들 등반할 때 적합한, 간단하고 빠른 방법이다.

앵커에 도착하면 선등자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를 아래쪽 비너에 (A) 클립하고 클로브 히치clove hitch로 묶어맨다 (사진 1).

2. 퀵드로 한 개를 두 번째 볼트에 클립한다 (B) (이 퀵드로는 첫 번째 볼트보다 위에 있어야 하며 될 수 있는 한 다음 피치pitch 방향에 있어야 한다).

두 번째 볼트에 클립된 카라비너에 (B) 두 번째 클로브 히치를 묶는다. 반드시 그 카라비너를 180도 회전하여 개폐구가 우리가 서 있는 쪽을 향하게 해야 한다. 이렇게 되어 있어야, 그 매듭이 퀵드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3. 아래쪽 볼트에 (사진 3) 쓰인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에 자동으로 추락을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를self-arresting belay plate 위한 카라비너를 클립한다.

이제 선등자는 다른 추가 장비 없이 그 두 개의 볼트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 확보물이 (퀵드로 B) 이미 제 자리에 있어, 다음에 선등할 사람이 쓰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제 선등자는 후등자를 데리고 오기 위해 추락을 자동으로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를 써야 한다.

후등자는 일단 빌레이 앵커에 도착하여 다음 피치로 출발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일을 한다:

1. ‘셀프 어레스팅self-arresting’ 빌레이 장비에 계속 확보 받고 있는 상태이어야 하며

2. 사용되지 않는 모든 장비를 (퀵드로, 너트, 등등) 모으고

3. 빌레이 장비를 (스틱 플레이트sticht plaste, ATC, 튜브형 장비...) 선등자에게 넘긴다 (사진 4)

4. 일단 선등자가 빌레이 장비를 하니스에 걸고, 빌레이 볼 준비가 되어 있으면, 후등자가 ‘라이브 로프(live rope, 선등 나가는 쪽 로프)’를 퀵드로에 클립해야 한다 (B).

5.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에서 자동으로 추락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를 회수한다. 다음 앵커에서 빌레이 볼 때 필요하니까.

6. 이 시점에서 후등자는 다음 피치로 떠날 준비가 되어 있는 셈이다.

고정 앵커에서가 아니라 (전에는 이렇게 한 경우가 많았음) 하니스에서 빌레이 보는 것이 낫다. 로프 내주고 끌어들이기가 더 쉽고 정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등자가 다음 피치를 향해 떠나기 전에 퀵드로에 (B) 클립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이래야 추락 계수가 줄고 다음 볼트에 클립하기 전에 선등자가 떨어져도, 확보자의 하니스에 그 추락의 충격이 직접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시리즈로 연결하는 경우

좋은 점:

앵커(스탠스)를 만들기 위해 쓰이는 장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럼으로써 단순하여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준다.

나쁜점:

이 방식은 클라이머들이 선등을 교대로 할 때만 쓰기 좋다.

이 방식은 볼트 이외의 다른 타입의 앵커에서는 (가령, 자연 앵커) 부적절하다.

 

 

 

 

 

 

 

 

 

 

 

 

 

 

 

 

 

 

 

 

 

 

 

 

 

 

 

사진 1 자체적으로 잡아주는 빌레이 플레이트belya plate

사진 2: 작동 중의 빌레이 플레이트. 납작하고 각이 진 카라비너가 커다란 H.M.S. 카라비너와 반대쪽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주목하시라.

 

 

 

 

 

 

 

 

 

 

3 . 연결되어 있지 않은 두 개의 볼트 (TWIN BOLT STANCE NOT CONNECTED)

빌레이 앵커를 구성하는 두 개의 볼트는, 클라이머들이 교대로 선등하는지 안 하는지에 따라, 시리즈로 또는 나란히 연결될 수 있다. 설명 편의상, 두 명의 클라이머가 싱글 로프를 써서 ‘나란히 연결하는 방식’을 쓰는 상황을 검토코자 한다 (CONNECTION IN PARALLEL)..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경우 (CONNECTED IN PARARELL)

볼트는 슬링 또는 끈(thread)으로 연결되어 있다. 클라이머들이 선등을 교대로 하지 않을 때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앵커에 고르게 부하가 실리므로, 전통식 루트에서도 자주 쓰인다.

빌레이 앵커에 도착하면, 선등자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두 볼트 중, 높은 쪽에 퀵드로 한 개를 클립하고 (B), 사진 5에 보이는 것처럼, 클로브 히치(clove hitch)로 하니스에 연결된 줄을 묶어맨다. 이제, 선등자가 안전한 상태에서 빌레이 앵커를 만들 수 있다.

2. 아래쪽 볼트에 (C) 카라비너 한 개를 클립하고, 사진 6에 보이는 식으로, 그것과 그 위에 있는 카라비너에 (B) 슬링 하나를 클립한다.

3. 빌레이 앵커 가운데에 스크루 게이트 카라비너가 (A) 오게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 슬링의 일부를 비틀어 그 고리와 슬링에 카라비너를 클립한다. 사진 6과 7에서 보이듯이, 이 고리가 앵커들 사이에 고르게 무게가 실리게 해주며, 그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어도, 그 카라비너는 그 슬링에 여전히 클립되어 있다. 이제는 하니스에 묶은 로프를 스크루게이트 비너에 클로브 히치로 묶어 맨 다음, 불필요한 첫 번째 매듭은 푼다.

4, 자동으로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를 스크루게이트 비너에 (A) 클립하고, 그런 다음에 후등자를 위로 올라오게 한다. 이 자동으로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 용 카라비너는 스크루게이트와 매듭의 안쪽에 있어야 한다. 즉, 개폐구와 먼 쪽에 있어야 한다 (사진 3참조).

빌레이 앵커에 도착하면, 후등자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선등자가 쓴 카라비너와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A)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 한 개를 사용하여 안전한 상태로 만든다.

2. 모든 장비를 넘기고 하니스에서 빌레이 볼 준비를 한다.

3. 선등자가 스크루게이트 빌레이 카라비너에 묶은 로프를 풀기 전에 반드시 퀵드로에 (B) 클립되어 있어야 한다.

 

 

 

 

 

 

나란히 연결하는 방식 (CONNECTION IN PARALLEL)

장점

이 시스템은 다음 피치를 누가 할지 택할 수 있게 해준다.

준비하기 간단하고 쉬우며, 전통식 루트에서도 많이 쓰인다. 앵커들 사이에 하중을 고르게 나누기 때문이다.

단점

이런 타입의 빌레이 방식을 준비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슬링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도가 예각이어야 한다 (사진 7)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가 (A) 슬링 안의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슬링의 일부분으로 고리 하나를 만들고 거기에 카라비너가 클립된다.

파괴 강도가 높은 박음질된 슬링이 바람직하다. 그 슬링이 헤진 곳이 없는지 그리고 전반적으로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한다.

 

 

4. 그밖의 경우

트윈 볼트 앵커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볼트 두 개가 이미 빌레이 체인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 두 개를 연결할 필요가 없어 훨씬 간단하다. 선등자가 다음 피치로 떠나기 전에 위쪽 볼트에 클립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트윈 볼트 앵커가 끈으로(threads) 연결되어 있을 때

(특히 하강 선이 하산 선을 따라 있는 산악 루트에서는) 끈으로 볼트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그런 끈이 분명히 새 것이 아닌 한, 믿으면 안 된다. 두 가지 상황을 분석해 볼 수 있다;

  • 여전히 카라비너를 볼트 행어에 끼울 수 있을 때. 이럴 때는 그런 끈에 의존하지 않고, 시리즈로 또는 평행으로, 위에서 말한 방식으로 앵커를 만들 수 있다.

  • 끈의 넓이 때문에 볼트 행어에 클립할 수 없는 경우. 현장에 설치된 장비의 특성을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그런 끈을 풀거나 잘라내고 새 것으로 바꾼다. 작은 주머니칼이 이럴 때 매우 유용하다. 때로는 얇은 켈바(Kelvar) 코드 하나를 끼울 수도 있어, 기존의 끈에 추가하여 앵커를 만들 수 있다.

5. 하강

하강 시 유용한 조언

한 명의 클라이머는 보통 빌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하강하고, 후등자는 자동으로 추락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를 self-arresting belay plate 쓴다. 추가 장비는 불필요하다.

  • 하강 시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장비의 특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믿음직하지 않은 장비는 교체한다.

  • 보다 안전을 기하기 위해 가이드 핸드 밑에 항시 마찰력 매듭을 (프루식 또는 다른 어떤 오토블록 장비) 쓴다.

  • 다음 빌레이 앵커에 도착하자마자 로프를 놓으면 안 된다. 필요하면, 로프를 하니스에 묶어 맨다.

  • 데이지 체인을 써서 하강기와 마찰력 매듭의 거리를 정확히 조절한다 (사진 4). 이런 타입의 슬링은 하강 시 극히 유용하다: 그 여러 가지 고리를 쓰면, 마찰력 매듭은 가까이 두고, 하강기는 정확히 하니스와 거리를 두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S: 빌레이 앵커belaly stance

D: 데이지 체인daisy chain

B: 하강기로 쓰이는 빌레이 디바이스belay plate used for abseil

F: 마찰력 매듭friction knot

6. 필요 장비

1. 퀵드로 1 세트 앵커를 위한 퀵드로 두 세트

2. 1.5미터 길이의 켈바(kelvar) 코드. 빌레이 앵커 만들기와 하강 시의 프루식 매듭을 위해 쓰임.

3. 빌레이 장비와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 하니스에서 빌레이 볼 때 씀.

4. 자동으로 추락 잡아주는 빌레이 장비와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 및 또 한 개의 카라비너

5. 빌레이 앵커를 위한 스크루게이트 카라비너 2 개

6. 빌레이 앵커와 하강을 위한 두 개의 슬링 또는 데이지 체인. 빌레이 앵커를 위해 퀵드로를 클립하지 않고 이런 장비 사용법을 연습해두는 것이 더 낫다.

이밖에도 헤진 슬링을 교체하기 위해 슬링이나 켈바 코드 그리고 주머니칼을 갖고 간다. 요즘의 우수한 가이드북에는 개별 루트에 필요한 장비가 정확히 나와 있다.

www.planetmounta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