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장비정보

로프고르기

팬더마당 2010. 3. 3. 11:26

로프 고르기

 

차례:
1. 등반 스타일 선택
2. 로프 종류
3. 자주 묻는 질문
4. 주요 변수
5. 로프 간수와 안전

 

1. 등반 스타일 선택

 

올바른 로프를 고르는 일은 간단합니다. 다음에 나오는 등반 스타일 중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것을 선택하십시오.

 

고난도 루트를 비교적 쉽게 레드포인트로 오르며 거의 추락하는 적이 없다: 충격력이 낮고 무게가 가벼운 로프를 필요로 한다. 기본적으로 가장 얇은 싱글 로프를 쓰는 것이 좋다..

 

꽤 힘든 루트를 시도하면서 가끔 추락하기도 한다: 낮은 충격력을 가진 튼튼한 로프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쓰고 있는 다른 장비들에 따라, 가령 페츨 사의 그리그리는 10 내지 11 mm 직경의 로프만 쓰도록 되어 있으므로, 9.7 내지 10.2 mm 로프를 쓰는 것이 좋다.

 

항상 자신의 한계를 극복해보려고 하며 그 때문에 많이 떨어지곤 한다: 충격력과 추락계수가 낮고, 상당히 많은 숫자의 보빈(bobbin)으로 제조된 강력한 로프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 40 개의 보빈 그리고 가장 낮은 추락계수를 가진 10.5mm 이상의 로프를 택하는 것이 좋다.

이 로프로는 빙벽 등반만 한다: 이 경우에는 속심(core)이 잘 꼬아져 있고 ‘드라이’ 가공된 빙벽용 로프를 택하는 것이 좋다.

 

스포츠 클라이밍을 많이 하며 강하고 오래 동안 견디는 로프를 필요로 한다: 추락계수가 최대한 높고 보빈(bobbin)의 숫자가 가장 많은 (적어도 40개 이상) 로프를 구한다.

 

2. 로프 종류

 

싱글 로프 (Single Ropes)
싱글 로프는 클라이머와 확보물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갈짓자로 되는 부분이 거의 없이 직선으로 올라가는 루트에 가장 적합하다. 싱글 로프는 다블 로프 두 가닥을 쓸 때 보다 가볍다. 직경은 9.8 내지 11 mm이다.

 

다블 로프 (Double Ropes)
해프 로프라고도 (half rope) 부르는 다블 로프는 두 줄로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복잡한 루트 상에서 두 가닥의 로프를 확보물들에 번갈아 걸도록 되어 있어, 로프 처짐과 파손의 위험을 줄여준다. 8.2 내지 9 mm 직경 범위이다.

주의: 다블 로프는 두 줄을 함께 사용해야 하되, 사이즈, 길이 및 브랜드가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잘 맞지 않은 것을 쓰면 두 로프 중의 하나가 심하게 닳고, 로프가 망가질 염려가 있다.

 

트윈 로프 (Twin Ropes)
트윈 로프는 해프 로프 보다 훨씬 가벼우므로 산악 루트에서 제일 좋다. 그러나 항시 두 가닥을 함께 ‘클립’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용도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 타입의 로프는 점차 생산이 중지되어 가고 있다. 그래서 이 로프를 여기서는 취급하지 않고자 한다.

 

‘드라이‘ 로프 (Dry Ropes)
‘드라이’ 로프는 물의 흡수를 줄이기 위해 발수 코팅 (water-repellent coating) 가공이 되어 있다. 물에 노출될 때 ‘드라이’ 처리가 안된 로프 만큼 빨리 물에 젖지 않아서, 보다 강하고 가볍다. 그러나 ‘드라이’ 처리가 물 흡수를 완전히 막지는 못한다는 점, 그리고 정상적인 로프 사용의 결과 그 ‘드라이’ 가공 효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된다는 점을 기억해두어야 한다.

 

‘드라이’ 처리 안된 로프 (Non-Dry Ropes)
물을 흡수하면 로프가 더 무거워지고 추락할 때 생기는 힘을 흡수하는 능력이 더 떨어진다. 추운 날씨에서는, 흡수된 물이 얼어서 로프를 뻣뻣하게 만들며 다룰 수 없게 만들고 만다 (얼음 결정체들이 또한 로프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3. 자주 묻는 질문

 

질문 1
추락계수란 무엇인가? (the fall factor)

: 추락계수는 추락 거리를 추락을 잡아주는 로프의 길이로 나눈 수치이다. 이 “추락계수”는 로프와 그 밖의 장비에 가해지는 부하(負荷, stress)의 관점에서 어떤 추락의 심각한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짧은 거리 추락 보다는 긴 거리의 추락이 더 나쁘다는 생각에 우리가 익숙해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추락 에너지를 로프가 흡수할 때, 로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흡수한다. 개념 상 보다 긴 추락은 보다 긴 로프에 의해 멈추어지게 되므로, 추락 에너지를 흡수하는 로프의 길이가 더 많아지게 된다. 이 상관 관계는 정해져 있으므로 절대적인 추락 거리 보다는 추락계수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 낫다.

 

질문 2
품질에 따른 가격 차이는?

: 등반 로프의 가격은 20만원 전후에서 35만원에 이르는 범위에까지 이른다. 덜 비싼 로프 중 어떤 것은 사실상 쓸 만 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보아, 고급 로프는 보다 더 잘 만들어졌고, 그렇기 때문에 더 오래 동안 쓸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가격이 항상 품질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는 하나, 우리의 안전 조치의 연결 고리 중 가장 중요한 고리라고 할 수 있는 로프에 관해 클라이머들이 정말로 싸구려 제품을 쓰기를 원할 것인가? 그러므로 자체 생산을 하는 '스털링'이나 ‘베알’이나 ‘마무트’ 같은 브랜드를 택해야 한다.

 

질문 3
무게가 중요한가?

: 무게를 줄여야 하는 경우에는 직경 보다 무게가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보다 얇은 로프를 선택하여 정말로 무게를 최소화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무게는 로프 1 미터 당 그람 수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전체 중량을 계산하려면 로프 길이에 이 수치를 곱해야 한다.

 

질문 4
로프 길이는 얼마가 되어야 하나?

: 50 m라는 로프의 표준 길이는 55 m와 60 m 로프에게 그 자리를 내어주었으며, 이제 일부 클라이머들은 70 m까지 길게 쓰고 있다. 로프가 길수록 감는 일과 무게와 로프 다루는 일이 많아지지만, 그 추가적인 효용이 있는 경우가 많다. 어떤 곳에서는 긴 로프이기 때문에 한 가닥으로 내려주거나 하강할 수도 있으므로, 두 번째 로프는 집에 남겨두어도 되는 경우가 있다.

 

4. 주요 변수

 

직경
일반적으로, 로프 직경이 클수록. 더욱 더 튼튼하며 오래 동안 쓸 수 있다 (다른 조건이 같은 한). 약간 작은 직경의 로프는 더 가벼우며 확보물에 로프를 걸기가 더 숴워서, 고난도의 루트를 선등할 때나 빙하를 건널 때 보다 더 인기가 있다.

 

길이
보다 긴 로프를 쓰면 한 피치로 (그리고 하강 시에도) 더 멀리 갈 수 있다. 그러나 짧은 로프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덜 나가고 장비 백(bag) 속에서 공간도 덜 차지한다. 많은 새로 생긴 루트에서 적어도 60 m 로프를 필요로 하며, 어떤 곳에서는 70 m를 필요로 한다.

 

스테이틱 로프 (Static ropes)
스테이틱 로프는 마모 내구성이 강하고 파괴력에 견디는 힘이 높으며, 하중(荷重)을 받아도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파괴 강도는 (breakin force) 표준 하중이 (80Kg) 가해졌을 때 로프가 늘어나는 정도를 말한다. 하강, 동굴 탐사, 캐녀닝(canyoning) 등을 위해서는 스테이틱 로프를 사용한다.

 

다이나믹 로프 (Dynamic ropes)
다이나믹 로프는 추락 시 클라이머에게 전해지는 힘의 양과 관계된다. 최대 충격력이 낮은 로프는 보다 긴 시간에 걸쳐 추락 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보다 많이 흡수함으로써, 클라이머와 확보 시스템에 그 힘이 덜 가도록 해준다.
이런 종류의 로프는 자유 낙하가 일어날 수도 있는 등반에 알맞다.

 

제조 방식
등반 로프는 케른맨틀 (kernmantle) 구조, 즉, 외피(外皮)로 덮여 있는 튼튼한 속심(ken)을 갖고 있다. 로프의 속심이 하중을 지탱하는 로프의 주요 부분이다. 속심의 바깥쪽 주위에 외피가 조밀하게 짜여져 있어, 마찰하더라도 속심이 보호된다. 속심은 나이론 원사를 꼬아 만들어진 여러 가닥의 코드렛으로 (cordlet) 구성된 속에 있는 꼬여진 로프들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것을 그 다음에 로프 전체 길이에 걸쳐 몇 가닥으로 다시 꼬게 된다.

한 가닥 마다 3 개의 코드렛이 있다 - 로프의 속에 있는 가닥의 숫자는 로프 직경에 따라 다르다. 가닥들은 (strands) 코드렛들이 시계 방향으로 꼬여 있느냐 아니면 그 반대 방향이냐에 따라 어떤 꼬임새를 (lay)를 갖게 된다. 개별 코어(core)에는 로프의 꼬임과 갈라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타입이 결합되어 있기 마련이다.

 

신축성
로프 신축성은 손으로 다루기가 편한 정도 그리고 매듭 묶기가 쉬운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클라이머들은 매듭을 묶기가 더 쉽기 때문에, 신축성이 좋은 로프를 선호한다. 그러나 무게가 실리면, 그런 매듭은 풀기가 어려워진다. 또 다른 클라이머들은 약간 뻣뻣한 로프를 선호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그런 로프는 등반 확보물에 로프를 통과시키기가 더 쉽고 또 그런 로프로 맨 매듭은 풀기도 더 쉽기 때문이다. 신축성은 개인적인 기호 문제다.

 

5. 로프 간수와 안전

 

로프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흙 알갱이가 로프를 심하게 닳게 한다. 항시 로프가 땅바닥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하며, 등반할 때는 타포린 (tarp) 천 위에 개어 놓도록 한다. 로프를 밟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흙 입자가 로프 표면을 더 깊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크램폰을 신었을 때는 로프 주위에서 주의해야 한다.

 

로프를 정확히 간수해야 한다.
찬 물과 합성 세제가 아닌 약한 비누를 사용하여 로프를 빨아야 한다. 철저하게 헹구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다. 표백제를 쓰거나 기계 건조를 하지 말아야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로프 백 속에 느슨하게 보관해두되, 열과 햇빛 그리고 독한 화공약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로프 퇴출
로프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로프를 사용한 빈도와 강도에 달려 있다. 로프는 값이 싸지 않으나, 우리의 생명 또한 값이 싸지 않다. 자신의 로프가 눈으로 보아서는 닳았다는 표시가 없다 하드라도, 다음에 나오는 기본적인 퇴출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좋다.

가끔씩 사용하는 경우 (한 달에 두 번 사용하는 정도) -- 4 년 후에 교체.

주말 마다 사용하는 경우 - 2 년 후 교체.

스포츠 클라이밍 - 스포츠 클라이밍 루트의 완등을 위해 노력하면서 겪게 마련인 반복적인 짧은 추락이 로프에 많은 부담을 줄 수 있다. 몇 개월 내지 반 년 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다.

심한 추락 - 격렬한 추락을 한 후에는 반드시 그 로프를 바꾼다. 또한 납작하거나 약한 지점이 생겼다든가, 뻣뻣해졌다든가, 표피가 상했다든가 하면, 역시 로프를 바꿔야 한다.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 믿음이 가지 않으면, 바꿔야 한다!

힌트 -- 로프 사용 시간을 기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등반 일기나 등반 일지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