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n Pie - Don McLean, Madonna |
아주 아주 오래 전에는
음악이 나를 얼마나 기쁘게 해주었는지 난 아직도 기억할 수 있어
기회만 주어진다면
사람들을 춤추게 할 수도 있었어
잠시동안이나마 그들은 행복하겠지
당신이 '사랑의 책'을 썼나요?
성경에서 그렇게 말한다고 해서
하나님을 믿는 건가요
당신은 록큰롤을 좋아 하나요
필멸의 영혼을 음악이 구할 수 있을까요
내게 정말로 천천히 춤추는 법을 가르쳐 줄래요
당신이 그와 사랑에 빠졌다는 걸 알아요
체육관에서 춤추는 걸 봤으니까요
당신 두 사람은 신발까지 벗었요
그 리듬하고 부르스가 정말 맘에 들었어요
난 한 송이 핑크빛 카네이션과
픽업 트럭밖에 없는 혈기왕성한 십대였지
하지만 음악이 사라져 버린 바로 그 날
난 운이 없다는 걸 알고 있었어
난 노래하기 시작했지
잘가요, 미스 아메리칸 파이
차를 몰고 둑으로 갔지만
물은 말라 있었어
내 오랜 친한 친구들은 위스키를 마셔대며 노래했지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말이야
블루스를 노래하는 한 아가씨를 만나서
기쁜 소식이 없냐고 물었어
하지만 그녀는 그냥 웃으며 돌아섰어
몇 년 전 내가 그 음악을 처음 들었던
신성한 그 가게에 다시 들렀어
하지만 거기 있는 사람이 말하더군
음악이 예전처럼 나오지 않는다고 말이야
그리고 거리에서는
아이들은 소리를 지르고
연인들은 외쳐 대고
시인은 꿈을 꾸지
하지만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고
교회종은 모두 부서졌어
내가 가장 존경하는 세 사람인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해변으로 가는 마지막 기차를 타버렸어
음악이 죽어 버린 바로 그 날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노래하고 있었어
잘가요, 미스 아메리칸 파이
차를 몰고 둑으로 갔지만
물은 말라 있었어
내 오랜 친한 친구들은 위스키를 마셔대며 노래했지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말이야
잘가요, 미스 아메리칸 파이
차를 몰고 둑으로 갔지만
물은 말라 있었어
내 오랜 친한 친구들은 위스키를 마셔대며 노래했지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오늘 죽도록 마셔 보자고 말이야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노래하고 있었어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노래하고 있었어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노래하고 있었어
그래서 우리들은 이렇게 노래하고 있었어
|
이 곡은,돈 맥클린(Don McLean)이 1971年 발매한 동명의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이듬 해
1972年 1月 15日자부터 연속 4주간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올랐었다.
그리고 1950年代,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와 함께 유명했었던 로큰롤 가수
이자 작곡가 겸 기타리스트였었던, 버디 할리(Buddy Holly)를 추모하여
만든 곡으로 Don McLean의 대표곡이기도 하다.
故 버디 할리는, 한창 인기 절정이던 1959年 2月 3日 순회
공연차 탑승했던 비행기가 추락하여 요절했었다.
이때 동승했던, 라밤바의 리치 밸런스(Richie Valens) 그리고 빅
바퍼(Big Bopper) 역시도, 조종사와 함께 사망했었다.
그 때 故 버디는, 1936年生으로 23세 · 리치는 1941年生으로
18세 · 빅 바퍼는 1930年生으로 29세였었다.
전세계 십대들의 우상이자 젊은 천재 음악가들이, 한꺼번에
사망한 끔찍한 사고로 음악사에 기록되고 있다.
가사에서 보듯이, Don McLean이(당시 13세) 신문 배달을 하다 그 사고 기사에 충격을 받은
그 날을 ‘ 음악이 죽은 날(The Day The Music Died) ’ 이라 언급하고 있다.
이 사고 전까지만 해도, 클리프 리처드와 행크 마빈이 그랬었듯이 음악에 뜻을 둔
젊은이들은 이들을 흠모했었고, 이들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었다.
그리고 그 땐 미국의 음악이, 영국을 포함해 전세계적인 유행을
선도 · 지배했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대중 음악은, 이후 1964年 비틀즈(The Beatles)의 미국 진출을 계기로
브리티쉬 인베이전(British Invasion ; 영국 대중음악의 미국 침공)이 시작됐었는데,
역사에 가정이란 없지만 1959年 그 날의 그 사고가 없었다면 미국의 음악이
영국에게 자리를 내어주는 일은 없었을 거라는 아쉬움도 있다.
말하자면 American Pie로 대변되는 미국의 대중음악은, 1959年의
그 사고로 유능한 천재 음악인들을 한꺼번에 잃어버림으로써 영국에
게 주도권을 상실하고 말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1959年 2月 3日은 미국의 음악이 죽은 날, 미국의
음악이 세계 속에서 주도권을 상실한 날을 말한다.
Miss American Pie는, 추락한 비행기의 이름이 American Pie(선박이나
항공기는 여성, She로 받는다) 라는 설도 있고 Miss America와
American as apple pie의 합성어란 설도 있다.
그리고 미국인들이 사랑하는 미스 아메리카와, 미국인들이 즐겨 먹는 사과 파이를
내세워전형적인 미국의 것들, 즉 미국의 대중문화를 지칭한다.
또한 실제로 Don McLean은, 미스 아메리카 후보와 사랑에 빠진 적도 있었다 한다.
그리고 또 ‘ The day the music died ’ 는, 故 버디 할리(Buddy Holly & The Cricke
ts)의 1957年의 1위 곡인 ‘ That’ ll Be The Day (when I die) ’ 에서 나온 것.
jester(어릿광대)는 밥 딜런(Bob Dylan), the king은 엘비스 프레슬리 · the queen은
카니 후랜시스를 가리키고 있다는 등등의 해석이 분분하지만, 작가 자신은 각자의
판단에 맡길 뿐, 이런 부분에 대해 명쾌하게 언급하진 않고 있다.
'휴게마당 > 외국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n't Forget To Remember / Bee Gees (0) | 2010.10.15 |
---|---|
Mother of Mine / Jimmy Osmond (0) | 2010.10.15 |
Mamma Mia / ABBA (0) | 2010.10.14 |
Stumblin' in / Suzi Quatro & Chris Norman (0) | 2010.10.09 |
Zwei Kleine Sterne / Heintje (0) | 201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