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less Whisper
- Wham
I feel so unsure
as I take your hand and lead you to the dance floor
as the music dies, something in your eyes
calls to mind the silver screen
and all its sad good-byes
불안한 마음을 가눌 수 없네요
그대의 손을 잡고 무대로 걸어나가면서도
음악소리가 조금씩 줄어들자, 그대 두 눈에
낡은 영화의 영상이 떠오르고
작별의 시간이 돌아오는군요
I'm never gonna dance again
guilty feet have got no rhythm
though it's easy to pretend
I know your not a fool
난 이제 다시 춤을 추지 않을거예요
죄책감 때문에 리듬에 맞춰 발을 옮길수 없군요
그렇지 않은 척 하기는 쉽지만
당신이 바보가 아니라는 걸 난 잘 알아요
Should've known better than to cheat a friend
and waste the chance that I've been given
so I'm never gonna
dance again the way I danced with you
친구를 속이지 말아야했는데
나에게 주어진 그대를
사랑할 기회를 날려 버리지 말았어야했는데
그대와 춤을 추었던 것처럼
다시는 춤을 추지 않으렵니다
Time can never mend
the careless whispers of a good friend
To the heart and mind, ignorance is kind
there's no comfort in the truth
pain is all you'll find
Should've known better
좋은 친구가 얘기해준 정확하지 않은 소문은
시간이 지나도 바로 잡히지 않을겁니다
우리의 진정한 마음으로는
모르는게 오히려 더 낫습니다
진실을 아는 것은 아무런 위안도 안되죠
고통만 있을 뿐이예요 모르는게 나았을 것을
Tonight the music seems so loud
I wish that we could lose this crowd
Maybe it's better this way
We'd hurt each other with the things we'd want to say
오늘밤 음악소리가 유난히 크군요
우리가 이 군중들로부터 사라져 버렸으면
아마도 이렇게 하는게 나을거예요
하고싶은 말에 서로가 상처를 주느니
We could have been so good together
We could have lived this dance forever
But no one's gonna dance with me
Please stay
우린 좀더 가까이 지낼 수 있을 겁니다
영원히 이 춤을 추며 살지도 몰라요
하지만 이젠 나와 춤 출 사람이 없군요
제발 내 곁에 머물러 주세요
1980년대 초
영국 팝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한
Wham! 이들의 출발은 아이돌 스타였으나 결국
소울적 기법과 아메리칸 팝의 전통적인 양식미가 융합된 음악으로
세계적인 그룹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1982년 스쿨밴드의 일원이었던
조지 마이클과 앤드류 리즐리로 구성된
Wham 의 'Wham Love' 가 영국에서 히트를 하게 되자
이들이 소속된 CBS 레코드사는 이들의 정식 데뷔앨범인 'Fantastic' 을 발표한다.
이 앨범으로
새로운 아이돌 스타로 자리잡은 이들은
1984년, 'Wake Me Uo Before You Go Go' 와
'Careless Whisper' 이 수록된 2집 'Make It Big' 을 발표,
미국 팝 시장을 공략하게 된다.
Wham 은 초기
앤드류 리즐리의 외모 덕분에
인기를 얻었으나 후에는 조지 마이클의 가창력과 뛰어난 작곡 능력으로 인정을 받았다.
조지 마이클의 두드러진 활동은
상대적으로 앤드류 리즐리의 활동을 위축시켰고
결국 이들은 1986년 해체하고 만다.
1985년 2월 6일부터 3주간 빌보드 챠트 1위를 차지한
'Careless Whisper' 는 후에 빌보드에 의해 최우수 싱글로 선정되기도 했다.
'Careless Whisper' 는
도입부에 연주되는 색소폰과 드럼의 조화,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
조지 마이클의 감미로운 목소리, 흑인 음악을 기초로 한 소울적 편곡에
아메리칸 팝 스타일의 음악적 양식 등이 잘 조화되어 많은 인기를 얻었다.
'휴게마당 > POP2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Now and forever / Richard Marx (0) | 2011.01.12 |
---|---|
30. Can't take my eyes off of you / Morten Harket (0) | 2011.01.12 |
32. Tears in heaven / Eric Clapton (0) | 2011.01.12 |
33. Bohemian Rhapsody / Queen (0) | 2011.01.12 |
34. Creep / Radiohead (0) | 201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