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마당/산행정보

확보법

팬더마당 2010. 3. 3. 11:35

확보법(Belay)

 

확보(Belay)는 등반하는 사람이 추락할 때 등반하는 사람과 이어진 자일을 확보자가 잡아 주어 등반자의 추락거리를 최소화 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바위를 오르다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것은 늘 일어날 수 있는 일 이기도 하다. 이렇게 추락 시 생기는 위험은 확보를 해야만 안전한 등반을 할 수 있기에 암벽등반은 철저히 안전한 확보를 바탕으로 한다.

 

암벽등반은 몇 가지 장비를 준비하고 기본기술을 익히면 오르려는 본능에 의해 쉽게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확보기술은 본능이 아니라 처음부터 완벽하게 익혀야 한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막아줄 확보에서 실수한다면 치명적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자일 양끝을 묶고 오르는 등반자 중 앞서 오르는 사람은 선등자, 뒤에 오르는 사람은 후등자라 한다. 선등이란 로프를 매달고 바윗길을 오르면서 안전을 위해 확보물을 걸고 앞장서서 오르는 것을 말한다. 후등자는 단단히 박혀 있는 확보물에 자신을 확보하고, 선등자가 확보물을 걸고 오르는 동안 선등자가 추락할 경우에 대비해 자일이 더 이상 빠져나가지 않도록 준비한다. 혹은 선등자가 후등자를 위해 자일처리를 해준다.

 

이렇게 하는 것을 '확보를 본다'라고 하며 상대의 추락에 대비해 자일을 잡고 있는 이를 확보자라 한다. 선등자가 추락했을 때에는 확보자가 자일을 자신의 확보기로 제동시켜 선등자의 추락 거리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 선등자의 등반거리는 사용하는 자일 길이에 따라 약 40m 안팎에서 미치게 된다. 이것을 한 피치(마디)라고 하는데 매 피치마다 선등자나 후등자가 상호 확보를 받으며 안전하게 오르는 것이다.

 

확보의 종류

자기확보(self belay) -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확보하는 것으로 유동 확보물이나 고정확보물에 안전밸트에 연결된 확보줄로 확보 하는 것이다. 이때 확보점은 2개 이상이 안전하다.가장 먼저 하여야 할 확보이다.

 

선등자 확보 - 선등자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안전밸트에 확보기구를 바로 연결해서하는 직접확보와 확보물에 연결해서 하는 간접확보가 있다.

 

후등자 확보 - 직접확보와 간접확보가 있는데 간접확보를 많이 사용한다.

 

런닝 빌레이 - 선등자가 등반하면서 추락거리를 줄이기 위해 확보물을 설치하고 로프를 통과하는 확보.

 

바디 빌레이 - 허리, 어깨등에 로프를 둘러서 로프와 몸의 마찰력으로 충격을 흡수 확보하는 방법.

 

기구 확보 - 하강기나 튜브, 빌레이 플레이트 등을 사용하여 하는 확보하는 방법.

 

직접확보 - 자신의 안전밸트나 몸에 직접 확보기나 로프를 사용하여 하는 확보법.

 

간접확보 - 어느 지점에 확보기를 걸거나 로프를 통과하여 하는 확보법.

  ☞ 예) 선등자 확보; 기구를 사용한 직접확보.  후등자 확보; 기구를 사용한 간접확보.

 

자기 확보

모든 등반자는 제일 먼저 자기 확보부터 해야 한다. 특히 등반 중 피치를 마무리 할 때는 제일 먼저 자기 확보부터 하고 나서 장비 정리나 선·후등자의 확보에 들어가야 한다.

암벽등반의 기본기술과 확보방법, 하강방법을 익힌 사람은 실제로 바위를 오를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나 떨어질 것에 대한 준비 없이 무조건 올라 간다고 해서 등반을 잘 한다고 할 수는 없다.

확보물 설치는 나무와 큰 암각 같은 자연 확보물이나 볼트나 하켄과 같은 인공 확보물을 써서 암벽에 안전장치를 하고 자신이나 상대의 추락에 대응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하는 기술이다.

 

선등자(Top) 확보

선등자의 추락은 후등자의 추락보다 그 추락거리나 충격이 훨씬 크기에 그만큼 선등자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첫째, 선등자는 확보자가 확보를 정확히 잘 보고 있다는 믿음이 가야만 자신 있는 등반을 할 수 있다.

둘째, 만약 선등자가 떨어졌을 때 확보자가 확보를 얼마나 잘 보았는지에 따라 선등자의 안전이 결정된다.

확보자는 선등자의 등반 모습을 정확히 쳐다보며 자일 길이를 조절한다.

등반자의 몸 놀림을 정확히 파악하여 당기기도 하고 늦추기도 하면서 리듬을 타야 하며, 등반자의 등반동작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크럭스에 도달하여 추락할 확률이 많다고 인정될 때에는 확보자는 곧바로 제동 시킬 수 있는 준비를 해야 만약 떨어졌을 때에는 자일을 조금이라도 당겨 추락거리를 줄여 주어야 한다.

 

지퍼 효과

확보자가 바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확보를 볼 때 선등자가 떨어지면 그 충격 때문에 첫번째 확보물이 빠지고, 계속해서 그 위에 걸어둔 확보물들이 차례로 빠져 등반자 및 확보자 모두 위험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긴다.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첫 번째 확보물을 거꾸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후등자 확보

확보는 대부분 8자 하강기나 카라비너를 이용하거나 반까베스땅으로 많이 본다. 피치의 지지점에 골고루 충격이 가해지도록 하여 후등자가 떨어졌을 때 지지점에 힘을 골고루 받게 해야 한다. 만약에 지지점이 약하면 별도의 확보물을 이용해서 지지점을 튼튼하게 해야 한다. 확보자나 등반자의 지지점이 분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확보자는 후등자 등반을 돕기 위해 자일을 팽팽하게 당기며 확보를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히려 후등자의 등반에 방해가 되며 등반자로 하여금 의지력을 키워주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또한 자기 확보 위치와 후등자 확보 위치를 분리해서 자기 확보줄에 의해 방해되지 않게 해야 하며 후등자의 추락을 언제라도 제동할 수 있는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확보물 설치 요령

확보는 우선 지지점이 튼튼하게 지탱할 수 있는가를 점검해야 한다. 기존 하강 루트에서는 큼직한 하강용 피톤이 설치되어 있어 안전하지만, 이밖에 암각이나 나무, 혹은 어쩔 수 없이 프랜드나 너트 등의 확보물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하강 지점을 만들어 하강할 시에는 슬링을 걸고 설치된 슬링에 자일을 걸어야 한다.

 

하강 확보물 설치시 주의점

1. 슬링의 각도가 작을수록 안전하다. 90도 이하가 좋다.
2. 슬링을 한번 뒤틀어서 묶으면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전하다.
3. 하켄을 좌우로 벌려서 박는 것보다 아래 위로 벌려서 박는 편이 더 안전하다.
4. 하강은 튼튼한 확보물이 있는 절대 안전한 곳에서 행해야 한다.
5. 나무 밑둥에 슬링을 건다. 썩은(죽은) 나무는 위험하다.
6. 암각은 슬링이 빠질 염려는 없는지 확인한다.
7. 볼트는 부식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연결된 슬링 확인한다.
8. 하강용 확보물을 설치하여 하강하는 경우 확보자와 하강용 줄은 따로 설치한다.

    

확보 기구

 

확보물은 선등자의 중간지지점(런닝빌레이), 혹은 피치를 끊은 후의 확보지점으로 사용하는 장비다. 즉 선등 시 중간확보물을 설치하므로써 그만큼 추락거리를 단축시키며, 피치에서의 확보도 그만큼 튼튼해진다. 물론 기존 루트엔 고정확보물인 볼트나 하켄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유동확보물인 너트나 프렌드류 등이 많이 쓰이고 있다.

유동 확보물은 바위가 갈라진 크랙에 설치하는 것인데, 크랙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쓰이므로 그 크기도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너트와 프렌드류의 기능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장비들도 많이 있다. 확보물들은 자칫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그 사용법 및 기능 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너트(Nut)

사다리꼴 및 오각형, 육각형 모양의 쇄기로 크랙에 집어넣어 지지력을 얻는 확보물이다.
크랙 등반 시 많이 이용되며 설치와 회수가 용이하다.
크랙의 모양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제품이 있다.
마이크로너트는 일반 너트를 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크랙에 사용한다.
종류에 따라서 스토퍼.록.??지 등으로 구분한다.

 

프렌드(Friend)

1978년 Ray Jardine이 발명한 크랙 속에 끼워 넣어 양쪽 날개가 벌어지면서 지지력을 얻는 확보물이다.
미세한 크랙에 사용되는 것부터 주먹보다 큰 대형 사이즈까지 다양하다.

 

로우볼(Lowe ball)

프렌드나 너트를 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크랙에 넣어 확보물로 사용한다.

 

TCU(Tri Cam Unit) 캠이 3개로 된 프렌드 이다.

 

트라이 캠(Try cam)
캠모양의 쇄기를 회전력을 이용하여 확보하는 장비, 얼음과 바위가 혼합된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하켄(Haken)
크랙 속에 넣어 해머로 두들겨 박아서 확보물로 사용한다.
나이프 하켄, 앵글 하켄 등이 있다.

 

봉봉 보통 하켄을 설치할 수 없는 넓은 크랙에 박아서 사용하는 확보물이다.

 

볼트(Bolt)
바위면에 인공적으로 구멍을 뚫고 쐐기용 볼트를 때려 박아 추락 방지 및 자기확보, 하강 지점을 만들어 주는 도구.

 

장비의 설치 모습

'정보마당 > 산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상 요소  (0) 2010.03.16
소재 정보  (0) 2010.03.16
힘의 단위(뉴턴)  (0) 2010.03.03
매듭법  (0) 2010.02.12
[스크랩] 계절별 추천산  (0) 201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