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피치 등반시의 확보 시스템 설치법
멀티피치등반에 있어서 확보시스템은 매우 중요하고도 결정적인 부분이다. 등반자의 추락계수 2 정도
되는 심각한 추락에도 견딜수 있으려면 복잡하고도 어려운 기술적인 부분들을 내포하고 있다.
아래 에서는 확보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이미 습득하고 있는 걸 전제로 하여 그림을 위주로
설명하며 이로 인해 그동안 잘못 이해되어져 왔던 확보 시스템에 대한 부분적 오류를 바로 잡는 기회
가 되기를 바란다.
안전한 확보시스템의 설치를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
이하 설명하는 확보시스템은 모두 이같은 기준을 통하여 그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1. 1 지점 확보
튼튼한 나무나 커다란 바위 뿔 등을 확보 물로 사용하는 경우 확보물에 슬링이나 코드를 설치하는 방법
|
1) 거스 히치 거스히치 매듭의 강도를 고려 해볼 때 단지 두 줄의 끈으로 충격을 감당해야 하고 줄이 끊어 졌을 경우 시스템의 실패로 이어진다. 즉, 거스히치는 여분의 확보점이 결여 되어 있다. |
|
2) 확보 물에 루프를 만들고 양쪽 끝을 카라비너로 연결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네 개의 줄이 충격을 골고루 흡수 하기 때문에 거스히치 보단 강하지만 줄이 끊어졌을 경우 전체 시스템의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에 여분의 확보점은 여전히 미비하다. |
|
3) 확보물에 루프를 만들고 8자 매듭이나 오버핸드매듭으로 묶어주는 방법 고리 끝에 8자 매듭이나 오버핸드 매듭을 하게 되면 네줄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어느 한 줄이 끊어져도 시스템의 실패로 이어지진 않는다. 매듭의 강도는 약간 약해지나 여분의 확보점을 담보 할수 있다. |
2. 2지점 확보법
|
1) 슬링교차법 추락방향에 따라 슬링이 유동성을 유지 하므로 충격의 배분이라는 면에서 양호한 편이고 설치의 단순함과 강도 면에서도 합격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1 지점의 파괴시 슬링의 늘어짐을 피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슬링의 다른 지점의 파괴도 배제 할 수 없다. 슬링을 꼰 후 반드시 하단부에 잠금비너를 사용 하여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한 지점이 파괴 될 때 로프 끝이 미끄러지면서 확보의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
|
2)코드렛의 사용 확보의 늘어짐이 없고 슬링이나 1 지점의 파괴의 경우에도 여분의 확보점이 유지되어 확보 시스템의 실패로 이어지지 않는다. 다만 충격의 배분은 아주 작은 범위에서만 이루어지고 매듭의 강도는 슬링 교차법 보다 약간 떨어지고 설치도 더 복잡 하다. 코드렛은 일반적인 7mm나 스펙트라 5.5mm를 16피트 길이로 사용 한다. 하단부는 8자 매듭이나 오버핸드 매듭을 하게 된다. |
|
3)로프로 직접 묶기 로프 직접묶기는 등반용 로프를 확보줄로 사용 하기 때문에 강도는 탁월하다. 확보의 늘어짐이나 여분의 확보점 충격의 배분의 면에서 코드렛을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설치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렵다. |
|
잠금 카라비너가 아닌 일반 카라비너를 사용 할 경우 반드시 개폐구가 반대로 설치해야 한다. |
|
늘어짐의 방지 |
여분의 확보점 |
충격배분 |
강도* |
단순성 |
슬링교차법 |
아니오 |
아니요 |
예 |
양호 |
가장간단 |
코드렛 |
예 |
예 |
한정적 |
약간 떨어짐 |
가장복잡 |
직접묶기 |
예 |
예 |
한정적 |
가장좋음 |
가장복잡 |
●2지점 확보법 비교표
*모든 시스템은 충분한 강도의 슬링과 코드를 사용 하여야 한다.
슬링 교차법에 대하여 생각 해 본다면 먼저 상태가 불량한 볼트와 상태가 양호한 볼트에 슬링교차법으로 시스템을
설치했을 경우 하나가 파괴될 경우 슬링이 늘어짐으로 인하여 카라비너가 파괴 되거나 슬링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반면에 두 지점이 모두 양호한 볼트일 경우 한 지점이 파괴될 경우란 아주 드물다. 둘다 불량한 볼트일 경우엔 또
다른 복합적인 방법을 사용 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간단하다는 것과 빠르다는게 장점이 될 수 있는데 확실히 고전
루트에서 슬링 교차법은 빠른 등반을 가능하게 한다.
슬링 교차법과 코드렛은 한사람이 계속 선등을 해야 할 경우엔 로프 직접 묶기 보다 유리하다. 로프 직접 묶기는
복잡하나 여분의 장비가 필요 하지 않기 때문에 선등자가 런너나 퀵드로우를 모두 사용 했거나 전 피치에서 코드렛
을 파트너에게서 넘겨받지 못했을 경우에 유용하다.
3. 3 지점 확보법
1) 3지점 코드렛 (Picture 8)
1) 3지점 코드렛
이방식은 2지점 코드렛의 장단점과 동일한 결과를 가진다.
2) 2지점 코드렛/슬링 교차법(복합적인 확보법), 2지점 직접묶기/슬링 교차법
2지점 코드렛이나 3지점 코드렛 방식에 비하여 충격의 배분의 면에서 더 뛰어나다. 하지만 그림 9와 그림10 에서
처럼 설치하게 되면 왼쪽 방향에서 충격이 오면 오른쪽 확보점에만 충격력이 전해지므로 충격 방향에 따라 설치
형태를 바꿔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충격의 배분이란 면에서 3지점 슬링 교차법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는 편이나 대체
로 양호한 편이다.
●3지점 확보법 비교표
3지점 확보법 |
늘어짐의방지 |
여분의확보점 |
충격배분 |
강도 |
단순성 |
지점코드렛 |
예 |
예 |
한정적 |
양호 |
간단 |
2지점코드렛
/슬링교차법 |
예 |
예 |
양호 |
양호 |
약간복잡 |
2지점직접묶기
/슬링교차법 |
예 |
예 |
양호 |
탁월 |
약간복잡 |
●충격배분에 있어서 각도와 그효과
확보점 사이의 각은 예각이 바람직하다. 90도의 경우 각 지점에 50%의 충격이 배분되나 120도의 경우 1배.
160도의 경우3배의 충격이 각 지점에 전해진다.
|
3지점 코드렛을 설치할 경우 둔각을 형성하게 되면 비록 중간에 있는 코드렛이 줄여 준다고는 하나 3지점이 골고루 충격을 흡수해 주긴 어렵다 |
●특별한 상황 대처법 확보 줄 줄이기
|
첫째로 코드를 이중으로 사용 하거나 둘째로 오버핸드 매듭을 하고 나머지 코드렛의 고리로 확보점을 설치 하면 되는데 이때 코드렛 연결 매듭 부분은 사용하지 않는 쪽에 있도록 하는게 좋다. |
|
또 다른 방법은 하단부에 8자 매듭을 하는 대신에 여유분을 여러번 감아주는 방법이다. |
|
슬링 교차법을 사용하는 경우 슬링의 하단부에 오버핸드매듭을 각각 하게 되면 슬링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어느 정도 충격의 배분도 가능하게 되고 여분의 확보점도 유지된다. |
|
오버핸드 매듭을 해서 슬링의 길이를 줄일수 있다. 박음질 선과 연결 매듭은 사용하지 않는 쪽에 있게 한다. |
|
|
그림 16, 17, 18 은 슬링을 새로운 확보지점에 연결 하거나 퀵드로우를 이용하여 길이를 조정하면 된다. |
|
상방향 끌림 방지지점과 그 필요성은 선등자의 심각한 추락의 경우에 확보자와 확보점의 위치에 따라서 충격력에 이끌려 확보자의 몸이 상방향으로 끌려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하단부에 끌림 방지 장치를 해둠으로써 확보자와 확보 지점의 안전성을 담보 할 수 있다. 확보점과 견인 방지점과는 둔각을 유지해야 한다 |
|
각 확보 시스템의 종류별로 장단점이 있다. 이러한 장단점을 제대로 이해하고 등반형태에 따라 어떤 시스템을 설치 할 것인지는 등반자의 선택에 맡겨 질 수 밖에 없다. 다만 그동안 국내에서 확보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이퀼라이징이라고 속칭되는 슬링 교차법 등 한정된 방식을 사용한 부분은 빨리 개선 되어야 할 문제다. 외국에서는 이미 슬링 교차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험결과까지 내놓고 그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확보 시스템의 실패는 등반의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
'정보마당 > 등반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간고리매듭 (0) | 2010.08.27 |
---|---|
매듭을 단단히 조이자 (0) | 2010.08.27 |
인공등반 후킹 (0) | 2010.08.17 |
슬랩을 더 잘할수있는 방법 (0) | 2010.08.17 |
흔들리는 바위에 대처하는 확실한 요령 (0) |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