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랑고 신치 (Cinch) 사용 설명서
그리그리보다 가벼운 셀프 로킹 (Self-locking) 빌레이 장비
이 신치는 (Cinch) 자동 빌레이 장비가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항상 모니터링을 필요로 한다. 제동하는 쪽의 로프를 항상 콘트롤하고 있어야 한다.
그림으로 설명된 테크닉 만을 사용한다.
사용법
주의: ‘신치’의 제동력의 정도는 사용 로프의 직경과 타입에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UIAA와 CE에서 공인된 9.6 - 11mm 싱글 로프에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가늘고 매우 부드럽게 움직이는 새 로프를 쓸 경우, 등반하면서 이 ‘신치’를 쓰기 앞서 안전하고 위험성이 없는 곳에서 이 테크닉을 연습하시기 바란다. 하강할 때는, 항상 백업용, 일시적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매듭을 (프루식이나 오토블록) 쓴다. 특히 객관적인 위험이 있는 경우에 그래야 한다. 그런 일시적으로 마찰력을 주는 매듭이 ‘신치’에 끼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필요 할 때 ‘신치’가 잠기지 않을 수 있다.
b. 가이드 핸드 (Guide hole)
c. 풀어주는 레버 (Release Lever)
d. 구멍 형태의 회전축 (Pivot Hole)
e. 클립하는 구멍 (Clipping Hole)
f. 로프의 제동하는 쪽 (Brake Side of Rope)
g. 브레이크 핸드 (Breake Hand)
h. 잠금 카라비너 (Locking Carabiner)
* 회전축 구멍에는 절대로 아무 것도 달려 있지 않아야 한다.
1. 로프 끼우기
‘신치’의 뚜껑을 돌려서 열고 손과 클라이머로 표시된 그림대로 트랙 속에 로프를 놓는다.
하니스 제조업체의 사용 설명을 참조하면서, 신치의 뚜껑을 돌려, ?至? 그 안에 고정하고, 잠금비너를 써서 하니스의 빌레이 고리에 신치를 단다.
제대로 연결되었을 때, 로프의 두 끝이 신치 위로 나와야 하며, 클라이머로 가는 끝이 확보자에 가까운 끝에서 나오게 된다.
* 브레이크 핸드로 가는 로프 끝이 신치의 손 그림이 있는 쪽으로 나오는지 필히 확인해야 한다.
하강하기 전에, 신치에서 나와 앵커로 가는 로프의 끝을 홱 잡아 당겨 그 기능을 테스트한다.
신치가 제대로 장치되었으면, 클라이머 쪽이나 앵커 쪽을 당겼을 때 로프가 잠길 것이다. 로프가 신치를 통해 미끄러져 나오면, 부정확하게 장치된 것이고 결과적으로 다치거나 죽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신치를 열고, 로프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트랙 안에 놓고 또 다시 테스트한다.
3. '신치로 빌레이 보기
신치를 손바닥 위에 올려 놓고 그림에서처럼 로프의 자유롭게 움직이는 쪽을 (free end) 엄지와 손가락으로 쥔다.
클라이머 쪽으로 가는 로프를 다른 손으로 쥔다. 이 손이 가이드 손이다.
로프 내주기: 신치를 몸 바깥쪽을 향하게 하고, 가이드 핸드로 등반자 쪽 로프를 뽑아준다.
로프 감아들이기: 브레이크 핸드와 가이드 핸드로 장비를 통해 로프를 잡아 당긴다.
추락을 잡아주기 위해서는, 로프의 브레이크 핸드 쪽을 단단히 쥔다.
4. 내려주기와 하강
하강하거나 내려줄 때는, 브레이크 핸드로 제동하는 쪽 로프 끝을 단단히 쥔다. 클라이머가 하강을 시작하기 전까지 풀어주는 레버를 조심스럽게 뒤로 당긴다. 레버 위치와 브레이크 핸드의 압력을 조정하여 내려주는 속도를 조절한다. 레버의 회전 포인트에 엄지를 놓으면 가장 조절하기 쉽다.
경고: 릴리스 레버를 (release lever) 절대로 완전히 열지 않아야 한다. 그러면 등반자를 떨어트릴 위험이 있다. 레버는 클라이머가 하강을 시작할 때까지 서서히 열려야 하며, 하강 조절에 도움이 되도록 브레이크 핸드는 제동을 가하는 로프 가닥 위에 항상 있어야 한다.
* 내려줄 때는 언제나 브레이크 핸드를 쓴다
기억해둘 점: 신치를 돌리고, 로프 끼우고, 하니스에 달고, 잡아당겨 본다. (Pivot, Load, Attach, Yank.)
사용후기
이성삼 (2004-11-29 17:26:56)
저도 신치를 현재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서를 꼼꼼히 읽어보았지만, 설명서의 내용은 과장된 면이 보이며, 미국 특유의 (미국 트랑고 제품입니다) 제조물책임법상 제조사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문화가 '설명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신치가 자동확보기구가 아니고, 백업매듭을 해야 한다면 그건 그리그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월간 산 2004년 12월 324페이지에 나온 내용이 더 현실적으로 보입니다.
juhl (2004-11-30 12:42:48)
동감입니다. 다만, 서구에서는 툭 하면 고소 당할 염려가 있으니까. 제조사에서 면책 수단으로 별별 안전 조치하 백업 조치를 모두 열거하는 듯 합니다. 그러나 우리도 상황에 따라서는 그런 백업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가령 낙석이나 낙빙 등 예상치 못한 '객관적 위험'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말이죠...
White hole (2006-06-14 20:44:58)
www.trango.com에 방문해 보시면 업데이트 된 신치의 새로운 사용법들이 있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