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마당/우리노래

님 / 김정호

팬더마당 2011. 9. 23. 16:06


 

 
님 / 김정호

  

간다 간다   정든 님이  떠나간다 
 간다 간다  나를 두고 정든 님   떠나간다
 
님의 손목 꼭 붙들고 애원을 해도
님의 가슴 부여 잡고  울어
울어도  뿌리치고  떠나가드라
속절도 없이  
 
오는 정 가는 정에  
정이 들어 사랑을 했던 님 
어쩌면 그렇게도 야속하게 가시나요

 
간다 간다 나를 두고
정든 님 떠나간다
  
 

이황(李滉) 퇴계(退溪)선생은 매화(梅花)를 끔찍이도 사랑했다.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가 1백수가 넘는다.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다.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다.

그리고 두향의 나이는 18세였다.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선생이었던 지라, 한동안은 두향의 애간장을 녹였었다.

그러나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었던 퇴계 선생은

그 빈 가슴에 한 떨기 설중매(雪中梅) 같았던 두향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두향은 시(詩)와 서(書)와 가야금에 능했고 특히 매화를 좋아했다.

두 사람의 깊은 사랑은 그러나 겨우 9개월 만에 끝나게 되었다.

퇴계 선생이 경상도 豊基 군수로 옮겨가야 했기 때문이었다.

두향으로서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변고였다.

짧은 인연 뒤에 찾아온 갑작스런 이별은 두향이에겐 견딜 수 없는 충격이었다.

이별을 앞둔 마지막 날 밤, 밤은 깊었으나 두 사람은 말이 없었다.

퇴계가 무겁게 입을 열었다.

『내일이면 떠난다. 기약이 없으니 두려움 뿐이다.』

두향이가 말없이 먹을 갈고 붓을 들었다. 그리고는 시 한 수를 썼다.

『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 제/어느듯 술 다 하고 님 마저 가는 구나/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

이 날 밤의 이별은 결국 너무나 긴 이별로 이어졌다.

두 사람은 1570년 퇴계 선생이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21년 동안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

퇴계 선생이 단양을 떠날 때, 그의 짐 속엔 두향이가 준 수석 2개와 매화 화분 하나가 있었다.

이때부터 퇴계 선생은 평생을 이 매화를 가까이 두고 사랑을 쏟았다.

매화에게 그 모습을 보일 수 없다면서 매화 화분을 다른 방으로 옮기라고 했다.

퇴계 선생은 두향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 매화를 두향을 보듯 애지중지했다.

선생이 나이가 들어 모습이 초췌해지자 퇴계 선생을 떠나보낸 뒤

두향은 간곡한 청으로 관기에서 빠져나와 퇴계 선생과 자주 갔었던 남한강가에 움막을 치고 평생 선생을 그리며 살았다.

퇴계 선생은 그 뒤 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말년엔 안동에 은거했다.

그리고 세상을 떠날 때 퇴계 선생의 마지막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
'매화에 물을 주어라'.

선생의 그 말속에는 선생의 가슴에도 두향이가 가득했다는 증거였다.

'내 전생은 밝은 달이었지. 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前身應是明月幾生修到梅花).

퇴계 선생의 시 한 편이다.

퇴계 선생의 부음을 들은 두향은 4일간을 걸어서 安東을 찾았다.

한 사람이 죽어서야 두 사람은 만날 수 있었다.

다시 단양으로 돌아온 두향은 결국 남한강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

두향의 사랑은 한 사람을 향한 지극히 절박하고 준엄한 사랑이었다.

그 때 두향이가 퇴계 선생에게 주었던 매화는 그 대(代)를 잇고 이어 지금 安東의 도산서원 입구에 그대로 피고 있다고 한다.

 

 

 

 

*눈 속의 매화 설중매(雪中梅).

얼마나 멋진 말인가.

천지는 눈 속에 하얗게 얼어붙었는데 홀로 꽃을 피우니.

예전의 선비들은 설중매를 좋아하고 또 스스로 설중매이고 싶어 하였다.

설중매는 선비의 표상일 뿐만 아니라, 여인의 마음까지 사로잡아 기생도 다투어 제 이름을 설중매라 하였다.

 

 

'휴게마당 > 우리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를 사랑하고도 / 전유나  (0) 2013.03.05
하얀나비 / 김정호  (0) 2011.09.23
고독한 여자의 미소는 슬퍼 / 김정호  (0) 2011.09.23
이름 모를 소녀 / 김정호   (0) 2011.09.21
내 사람이여 / 이동원  (0) 2011.08.16